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2

[SQL] 오라클 계정 생성하고 관리자권한 부여하기

오라클 계정 생성하기 SQL에서 관리자는 sys고, sysdba는 관리자권한을 의미한다. SQL에서는 일반사용자에게 관리자권한을 줄 수 있다. - 목차 - 1. 관리자로 접속하기 2. 사용자 생성하기 3. 관리자권한 부여하기 +) 종료 1. 관리자로 접속하기 명령어 - 유닉스 : $ sqlplus / as sysdba - 윈도우 : c:₩sql> sqlplus / as sysdba 실습 ora19c로 리눅스로그인을 했기때문에 sqlplus에서 별도의 계정정보 입력없이 sysdba로 접속이 가능하다. 2.사용자 생성하기 명령어 SQL> CREATE USER [사용자] 2 IDENTIFIED BY [암호] 3 DEFAULT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 4 TEMPORARY TABLESPACE [임시..

데이터베이스 2022.11.02

[SQL] SQL 조인 실습문제

[데이터베이스] - [ORACLE] SQL 조인 순서정리 (+예제) 작성한 sql 조인 순서대로 풀이 송강 교수가 강의하는 과목을 검색한다. step 1. 지문에서 검색 대상과 조건을 찾는다 지문에서 검색 컬럼과 조건을 찾는다 검색대상 : 과목(cname) 조건 : 송강교수(pname) select cname from where pname = '송강' step 2. SELECT 절과 WHERE 절의 내용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테이블을 찾는다. SELECT 절과 WHERE 절에 사용된 컬럼이 포함된 테이블을 FROM 절에 기술한다. cname : course pname : professor select cname from course, professor where pname = '송강' step 3. 테이..

데이터베이스 2022.11.01

[SQL] SQL 조인 순서정리 (+예제)

SQL 조인 순서 step 1. 지문에서 검색 대상과 조건을 구분한다. - 이를 통해 일단 SELECT 절, WHERE 절, ORDER BY 절을 구성한다. - SELECT 절은 step 5에서 작성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step 2. SELECT 절과 WHERE 절의 내용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테이블을 찾는다. step 3. 테이블간의 관계를 확인한다. - 관계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테이블이 추가될 수 있다. step 4. 조인 조건을 기술한다. step 5. 전체 문장을 다듬는다. 예제) 화학과 학생의 일반화학 기말고사 점수를 검색한다. step 1. 지문에서 검색 대상과 조건을 찾는다 지문에서 검색 컬럼과 조건을 찾는다 - 검색 대상 .기말 고사 점수 : result - 조건 .화학과 학..

데이터베이스 2022.11.01

[OS]윈도우와 유닉스 권한 비교

윈도우 유닉스 관리자 administrator, administratos그룹 root(uid0) 오직 한명 관리자 권한 일반사용자중심인 편이라 관리자도 정책을 벗어난행동 하지못함. 시스템보다 위에 있음. 왜냐면 전문가용으로 나온거라 시스템도 관리자를 따라야함. 그룹권한 아이덴티티따라 그룹별로 유저를 분류함. administrators 그룹에 속하면 모두가 관리자. 오브젝트에 대해서 억세스권한을 할당할 뿐 크게 의미가 없다. 액션 권한 우클릭-관리자권한실행을 해야한다. 일반유저는 관리자권한실행을 못하고, 관리자권한이 있어야 실행이 가능하다. 모든 액션이 관리자권한 명령어 net users /etc/passwd 종류 모든권한, 수정, 읽기 및 실행, 디렉터리 내용보기, 읽기, 쓰기 읽기(r), 쓰기(w), ..

리눅스 2022.10.31

[Linux] Cent OS7 오라클설치

0.centOS7 설치 1. 리눅스 관리계정 및 그룹 생성 호스트명, IP : ora19c, 192.168.10.217 설치 계정 : ora19c (UID : 1900) 소속 그룹 : dba (GID : 1900) 홈 디렉토리 : /home/ora19c $ORACLE_BASE : /app/ora19c $ORACLE_HOME : /app/ora19c/19c [root@ora19c ~]# groupadd -g 1900 dba [root@ora19c ~]# useradd -g dba -u 1900 ora19c [root@ora19c ~]# passwd ora19c Changing password for user ora19c. New UNIX password: Retype new UNIX password: [r..

리눅스 2022.10.31

Net2) DNS 동작원리 (개념정리부터 질의과정까지)

DNS(Domain Name System) 크롬창에 구글주소를 입력하면 바로 구글에 접속할 수 있지만, 실제로 브라우저와 웹서버는 IP주소로 통신을 하고있다. 왜냐하면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주소를 IP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이걸 수행하는 시스템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다. DNS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개념정리와 구조, 질의과정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 목차 - 1. DNS 개념정리 1-1) DNS의 등장배경 1-2) DNS 개요 2. DNS 구조 2-1) DNS서버 구성 2-2) DNS서버 구조 3. DNS 질의과정 1. DNS 개념정리 DNS는 OSI7계층에서 Network계층에 해당되고, TCP/IP 4계층에서는 Internet 계층에 해당된다. *[네트워크..

네트워크 2022.10.31

Net1-1) IP(IP Adress, Netmask, Gateway) 요약정리

-목차- 1.IP 2.IP Adress 3.Netmast 4,Gateway 5.DNS +)명령어 1. IP IP란 Internet Protocol의 약어로,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에 대한 규약을 의미한다. 패킷을 송수신 하기 위해선 컴퓨터를 식별해야 하는데, 이 때 쓰이는게 IP다. 원래는 IP번호에 불과했지만, Netmask가 나오면서부터 IP 주소가 되었다. 2.IP Adress IP Adress는 위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기존 IP넘버에 네트워크를 구분할 수 있는 넷마스크가 붙은것이다. IP주소는 호스트 또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를 특정해서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로케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즉, 패킷을 주고받기위한 식별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택배를 예로 들면 집주소와 같다. 실제로 각 ..

네트워크 2022.10.19

[리눅스] IP 변경하기

-목차- 1.리눅스 설정 확인 2.IP주소 변경하기 1. 리눅스 설정 확인 netstat 시스템의 연결상태, 포트, 인터페이스등의 상태와 통계정보를 확인해서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명령어다. # netstat # netstat ‐i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 netstat ‐s //IP, ICMP, TCP, UDP 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 netstat ‐nr //라우팅테이블 확인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확인하거나 변경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유닉스 표준 명령어 이므로 어떤 리눅스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걸로 변경하면 영구변경이 아니기 때문에 예시에선 #nmtui를 이용해서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 ifconfig # ifconfig [NIC명] //..

리눅스 2022.10.14

OSI 7계층 정리표

OSI 7계층 TCP/IP 4계층 역할/기능 장비 프로토콜 유닛 대표공격 1) 물리계층 (하드웨어) 물리적연결/전기신호변환 케이블선/허브 Ethernet/RS-232 비트 케이블단절 2) 링크계층 네트워크접속 맥주소할당/네트워크 기기간 데이터 전송 스위치/브릿지 MAC 프레임 MAC 변조/ARP공격 3)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노드전달/데이터경로 설정 라우터 IP/ICMP/IGMP 패킷 IP변조/DHCP,ICMP공격 4)전송 계층 전송 계층 패킷검사/ 프로세스간 데이터 전송 게이트웨이(*3-way핸드셰이킹) TCP/UDP/ARP 세그먼트 TCP syn flooding/UDP Flooding 5)세션 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인증/통신방식결졍(연결 생성,유지,종료) - SSH/TLS 데이..

정보보안 2022.10.02

시스템 운영체제 요약정리

-목차- 1.운영체제 정의 2.운영체제 목적 3.운영체제 기능 3-1) 프로세스관리 3-2) 장치관리 3-3) 파일 관리 4.리눅스 5.윈도우 1.운영체제 정의 :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손쉽게 사용하도록 하고, 시스템 자원(기억장치, 프로세서, 입출력장치, 정보, 네트워크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윌리엄 스탈링스) 2.운영체제 목적 처리능력 향상 신뢰성 향상 응답시간 단축 자원 활용률 향상 가용성 향상 3. 운영체제 기능 : 프로세스관리, 장치관리, 파일관리 3-1)프로세스 관리 개념정리 - 프로세서 : 컴퓨터 운영을 위한 기본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논리회로(CPU)/데이터 처리 시스템(data processing system) - 프로세스 : 레지스터,스택,포인터,데이터 ..

정보보안 2022.10.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