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네트워크 접속
트랜잭션이란 작업의 최소단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작업의 최소단위란 커밋이나 롤백할떄까지의 작업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은행거래가 있습니다. 계좌이체를 할 때 돈을 출금했는데 입금이 확인되지 않을 때 송금과정이 전체 취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드시 다 처리되거나 다 취소되어야 은행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처럼, 트랜잭션 또한 일련의 작업과정을 반드시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은 "무결성"을 바탕으로 설계됩니다.
-목차-
1.오라클
1-1)시스템 구성
1-2)리스너
2.리눅스
3.윈도우
1. 오라클
1-1) 오라클 시스템 구성
오라클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다음은 제가 구성한 환경을 예시로 작성해놓은 것입니다.
오라클 서버
- IP : 192.168.10.19(oracle), 192.168.10.11(dal)
- Host명 : DB19.itclass.co.kr
- ORACLE_OWER : ora19c
- ORACLE_HOME : /app/ora19c/19c
- TNS_ADMIN : $ORACLE_HOME/network/admin
- ORACLE_SID : DB19
Linux 클라이언트
- IP : 192.168.10.215
- ORACLE_HOME : /app/ora19c/19c
윈도우 클라이언트
- IP : 192.168.10.210
- ORACLE_HOME : C:₩DB₩ora19c₩19c
1-2)리스너(Listener)
네트워크로 오라클서버에 접속하기위한 오라클 네트워크 관리자다.
listener.ora
설정이 잘 되었다면 자동으로 생성된다.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DB19.itclass.co.kr)(PORT = 1521))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1521))
)
)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DB19)
(ORACLE_HOME = /app/ora19c/19c)
)
)
- Default 리스너명은 listener이다.
- HOST : 서버의 호스트명이나 IP 주소
- PORT : TCP port 번호
- SID_NAME : Instance 명
- 클라이언트는 반드시 <호스트명>에 해당하는 <IP>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
$ lsnrctl
리스너 관리
$ lsnrctl [옵션] <리스너명>
- 명령어 옵션 -
. start : 리스너 시작
. stop : 리스너 종료
. status : 리스너 상태 출력 (listener.ora 파일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 reload : listener.ora를 다시 읽는다.

2. 리눅스
- 리눅스는 Putty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 이더넷에서 DNS를 이용하듯 TNS파일을 구성해서 서버를 찾아간다.
- Local naming 방식에서 sqlnet.ora 파일은 자동으로 생성되어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따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 NAMES.DIRECTORY_PATH= (<변환방식>)
Local naming 방식에서 tnsnames.ora 파일의 구성
<TNS 명>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 (HOST = <IP 주소>) (PORT = <port 번호>))
(CONNECT_DATA = (SID = <서버의 SID>))
)
- TNS 명 : 접속 서버의 네트워크 이름
. 호스트명은 각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정한다. (DNS 도메인명과는 무관하다.)
- HOST : 오라클 서버의 IP주소
- PORT : 접속 서버의 리스너 port 번호
- SID : 접속 오라클 서버의 SID
TNS-01106오류
- 해결 명령어
$ env | grep TNS //TNS환경설정 경로보기
$cd $TNS_admin //admin 경로
$vi TNS_admin/listner.ora //listener파일 설정변경
$lisrctl status listener //listner 환경설정 조회

3. 윈도우
윈도우도 TNS_ADMIN 디렉토리에 파일이 위치한다.
명령프롬포트를 통해서 직접 접속한다.
- Sqlnet.ora 파일 편집
- tnsnames.ora 파일 편집
- 오라클 서버와 연결 확인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SQL 문법과 명령어 요약 정리 (0) | 2022.11.07 |
---|---|
[ORACLE] 트랜잭션(Transaction)과 잠금(LOCK) (0) | 2022.11.07 |
[ORACLE] 주요 구성 요소 개요 (0) | 2022.11.02 |
[ORACLE] ORA-01034, ORA-27101에러 원인, 해결방법 (0) | 2022.11.02 |